제주도는 해 촌,
양 촌, 산촌으로 구분하여 그 생활 방식에 차이가 있다.
양 촌은 평야 식물 지대로 농업을 중심으로 생활하였고,
해
촌은 해안에서 고기를 잡거나 해녀로 잠수 어업을 하였고,
산촌은 산을 개간하여 농사를 짖거나 한라산에서 버섯,
산나물, 고사리
등을 채취하여 생활하였다. 농산물은 쌀이 거의 생산되지
않고 콩, 보리, 조, 메밀, 고구마 등이 생산되고 특산물은
감 귤과
전복으로 예전에는 진 상품이었다. 재주도 음식의 주된
재료에는 해초와 된장으로 맛을 내는 경우가 많고,
바닷고기로 국을
많이 끓이고 죽을 잘 쑨다. 제주도 사람의 부지런하고 꾸밈없는
소박한 성품은 음식에도 그대로 나타나는데 음식을
많 이
차리거나, 양념을 많이 쓰거나 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서
만드는 경우가 별로 없다. 간은 대 채로 짠 편이며 회를
많이 먹는 다.
또한 재료가 가지고 있는 자연 그대로의 맛을 살리는 조리법이
발달하였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주식류는 전복 죽, 옥돔
죽,
닭죽, 메밀 저배기, 곤 떡국 등이 있고 찬류로는 고사리
국, 돼지고기 육개장, 옥돔구이, 옥돔 미역국, 물 회, 콩국,
톳 나물, 꿩적,
자리회 등이 있다. 병과류는 빙떡, 오메기떡, 차좁쌀떡,
상애떡 등이 있고 음료로는 밀감화채, 자굴차, 소엽차 등이
있다. |